가나안 및 주변 지역의 주요 족속들이 지도 상의 어느 지역에 거주했는지를 아는 것은 사사기 및 왕정시대에 일어나는 침략 및 전쟁들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이 범죄할 때 주변 족속들을 이용하여 이스라엘을 치셨다. 가나안 및 주변 지역의 대부분의 작은 족속들은 앗수르와 바벨론과 같은 제국 시대에 멸절되었다.
가나안 7족속: 가나안, 기르가스, 브리스, 아모리, 여부스, 헷, 히위 (가나다 순)
족속 이름
내용
가나안
가나안 땅에 거했던 7족속 전체를 말하기도 하지만 그 중 한 족속인 가나안 족속을 의미하기도 함. 가나안 족속에 대해서는 성경에 자세한 언급 없음
기르가스
성경에 자세한 설명 없음
브리스
아브라함 때부터 가나안에 지냈으며, 정복전쟁 후에도 일부 남아 있다가 유다 족속에게 많은 수가 죽임당하고, 후에 솔로몬이 노예로 삼음(대하 8:7-8)
아모리
요단강 동편의 아모리 족속(시혼, 옥)은 이스라엘의 가나안 입성 전에 진멸당하고 이들의 땅이 3개 지파에게 먼저 분배됨. 여호수아가 가나안 내부의 아모리 족속(다섯 왕)을 무찔렀으나 완전히 진멸되지는 않음. 이들이 섬기던 바알과 아세라 우상이 이스라엘에 들어오게 됨
아모리족이 바알과 아세라를 섬겼다고 성경에 직접 기록되어 있진 않으나, 아합(왕상 21:26)과 므낫세(왕하 21:11)게 아모리인들의 우상 숭배를 따라했다는 언급과 아합과 므낫세가 숭배한 우상이 바알과 아세라였다(왕상 15:31-33, 왕하 21:2-7)는 것을 종합하였을 때 아모리족속의 우상이 바알과 아세라인 것으로 해석되고 있음
여부스
예루살렘 지역에 거했던 족속으로, 다윗 왕 때가 되어서야 이 땅을 정복함. 솔로몬이 성전 건축 때 여부스 족속에게 부역을 시킴
헷
아브라함이 사라를 장사지내기 위해 헷 족속에게서 막벨라 지역을 사서 그 굴에 장사함. 이스라엘은 헷 족속을 완전히 진멸시키지 못하고 그들과 통혼하는 죄를 지음
히위
여호수아를 속여 화친을 맺고 이스라엘의 종이 됨
그들의 마음이 완악하여 이스라엘을 대적하여 싸우러 온 것은 여호와께서 그리하게 하신 것이라. (수 11:20)
가나안 7족속 외 주요 종족
족속 이름
내용
아말렉
위치: 남서쪽 해안가
가나안 남부 지역에 위치. 이삭의 아들 에서의 자손(창 36:12).
이스라엘 민족이 출애굽하였을 때, 아말렉은 하나님을 두려워하지 않고 이유 없이 이스라엘 백성을 치고 노략질하였으므로(출 17장), 하나님은 아말렉을 진멸하실 것이라 약속하심.
사울은 말씀을 어기고 아말렉(아각 왕)을 진멸하지 않음.
다윗이 블레셋 땅 시글락에 거할 때, 아말렉이 시글락을 약탈하였기에 다윗이 쫓아가서 승리함.
후에, 페르시아(바사) 시대에 와서 아각 왕의 후손인 하만이 유대인을 전멸시킬 궤계를 세웠으나 모르드개와 에스더로 인해 실패하였음.
블레셋
가나안 남서부 해안에 위치.
발달된 철제 무기를 이용하여 이스라엘을 꾸준히 괴롭힘.
사사시대에 삼손이 블레셋을 대적하였으며, 후에 두 눈이 뽑힌채로 산당을 무너뜨림.
엘리의 두 아들이 블레셋을 대적하기 위해 언약궤를 들고 나갔다가 전쟁에서 죽고 언약궤를 빼앗김 (아벡전투).
사무엘이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승리하고 에벤에셀을 기념함 (미스바 전투).
사울 왕 초기에 아들 요나단이 블레셋을 이김.
다윗이 블레셋 장군 골리앗을 이김.
다윗이 광야에서 도피생활을 하던 중 잠시 블레셋에서 활동하였음.
악행을 저지른 남유다 아하스 왕(12대) 시대에 블레셋이 노략함.
암몬, 모압
아브라함 조카 롯이 두 딸을 통해 얻은 자손들임.
요단강 동편에 거주하였으므로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에 입성하기 전에 이들과 부딪혔으나(발람 사건, 고므리 사건) 이때는 하나님께서 이들 족속들을 살려두셨으므로 전쟁은 하지 않음.
이스라엘로 하여금 음행과 관련된 죄를 짓게 함.
나오미의 며느리인 룻은 모압 여인임. 나오미가 기근을 피해 모압에 갔으나 남편과 두 아들 잃고 룻과 함께 가나안으로 돌아왔음.
일부 중요한 도시의 위치(예루살렘, 길갈, 헤브론, 가데스바데아, 단, 시돈, 가드, 세겜, 브엘세바, 다마스커스 등)
기간 2. 북이스라엘 멸망 ~ 예수님 전까지
이때부터 갑자기 세계가 확장되면서, 가나안땅은 줄곧 강대국(5대 제국)의 영향권 아래 놓이게 됨. 5대 제국을 이용하신 것은 하나님께서 구속사를 이루시는 데 필요한 매우 중요한 부분이었음.
앗수르: 북이스라엘을 멸망시킴. 지역의 배반을 막기 위해 지배한 땅의 민족들을 마구잡이로 섞었음. 그래서 북이스라엘은 정통성을 잃어버리고 여러 민족의 피가 섞였는데 이들이 예수님 당시의 사마리아인이 됨 (앗수르 시대 주요 인물: 이사야, 히스기야)
바벨론: 남유다를 멸망시키고 가나안을 황폐하게 만들고 3차에 걸쳐 지도계층을 바벨론 본국으로 데려감. 정통성을 잃어버리지 않았기 때문에 다윗의 혈통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나실 수 있게 됨. 바벨론의 부흥과 멸망을 통해 민족과 열방을 통치하시는 하나님을 발견할 수 있음 (주요 인물: 예레미야, 에스겔, 다니엘)
페르시아(바사): 3차에 걸쳐 유대 백성들을 다시 가나안 지역으로 돌려 보냄 (주요 인물: 다니엘, 느혜미야, 에스라, 에스더)
헬라: 신구약 중간기에 있었던 일로, 이 시기에 구약이 헬라어로 번역되는 매우 중요한 업적이 성취되었음. 포로에서의 귀환 후 유대 백성은 타락하였고 율법과 문화를 잃은 상태였는데, 헬라 시기에 다양한 영적 운동이 일어났으며, 절기와 제사가 점차 제대로 지켜지고 서기관들이 활발하기 활동함. 그러는 중에 바리새인과 사두개인 등의 분파도 생김. (자세히 보기: 2017/04/17 - [침묵시대(신구약 중간기)] - 1. 신구약 중간기 주요 내용)
로마: 헬라는 자연스럽게 로마로 넘어가게 됨. 로마에서 가나안 지역을 다스릴 수 있는 분봉왕을 세웠는데, 헤롯 가문이 몇 대에 걸쳐 가나안을 다스림
사마리아 지역: 사마리아는 유다와 갈릴리 지역 중간에 위치하고 있어서 예수님께서 두 지역을 왕래하시는 길에 사역하심
예수님은 주로 유다(수도권)와 갈릴리(지방) 지역을 번갈아가며 사역하셨는데, 성경을 읽는 중에 예수님이 사역하시는 곳이 유다인지 갈릴리인지만 알아도 예수님의 행적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됨
사역지 1. 유다 지역: 주로 성전이 있는 예루살렘 내에서 활동하셨으며, 대부분 유월절을 전후로 하여서 머무심. 기적뿐 아니라 성전을 청소하시거나 제사장들과 논쟁하시는 등 예수님은 당시 사회적으로 큰 뉴스거리가 됨. 예수님과 가깝게 지내던 나사로의 집은 예루살렘 근교 베다니 지역이었음.
사역지 2. 갈릴리 지역: 사역 거처를 잡고 가르치고, 치유하시고, 제자양육하시는 일에 매진하심. 가나, 가버나움, 벳새다 및 갈릴리 호수 주변 지역에서 활동하심.